워드프레스 설정, 사이트 운영의 가장 기본적인 작업

This entry is part 1 of 1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기본설정

워드프레스 설정

 

이전글 에서 무료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치 완료후 가장 먼저 해야할 작업인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된 후 첫 로그인을 하면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에서는 워드프레스와 관련된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최고관리자 아이디로 접속했을 때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별로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메뉴가 다릅니다.
이 부분은 다른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화면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화면

 

워드프레스 설치를 마친 후 바로 접속한 상태의 대시보드 입니다.
아직 추가적인 테마, 플러그인 등 부가적인 것을 전혀 설치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좌측에 사용 가능한 메뉴가 보여집니다.
현재 접속한 아이디는 워드프레스 최고관리자 아이디 이므로 모든 메뉴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보여집니다.

 

워드프레스 메뉴 소개

 

  • 알림판 : 말 그대로 대시보드 입니다. 현재 운영중인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모아서 보여줍니다.
    • 홈, 업데이트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업데이트 메뉴에서 워드프레스 버전업, 각종 플러그인 통합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 글 : 워드프레스 사이트 컨텐츠의 꽃은 입니다.
    • 모든글, 새로 추가, 카테고리, 태그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컨텐츠를 체계적으로 제작/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미디어 : 사이트 구성, 글, 페이지 등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이미지, 동영상, 기타 파일 등을 관리하는 기능 입니다.
    • 라이브러리, 새로 추가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페이지 : 워드프레스 사이트 일반적인 웹페이지 작성을 담당하는 기능 입니다.
    • 모든 페이지, 새 페이지 추가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댓글 : 홈페이지 관리자와 구독자 사이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댓글 기능을 제공합니다. 댓글을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외모 : 워드프레스 사이트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테마, 사용자 정의하기, 위젯, 메뉴, 헤더, 테마 편집기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플러그인 : 워드프레스 기능을 확장하는데 다양한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설치된 플러그인, 새로 추가, 편집기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사용자 : 워드프레스에 로그인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관리 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모든 사용자, 사용자 추가하기, 나의 프로필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도구 : 컨텐츠를 변환, 가져오기, 내보내기 등을 하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 사용가능한 도구, 가져오기, 내보내기, 개인 데이터 내보내기, 개인 데이터 삭제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 설정 :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기본적인 동작방식을 정의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일반, 쓰기, 읽기, 토론, 미디어, 고유주소, 개인정보 서브메뉴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보여지는 팝업 메뉴 화면 입니다.
설정 메뉴는 7개의 서브메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7개의 서브메뉴는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기능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사이트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설정 일반

 

워드프레스 일반 설정
워드프레스 일반 설정

 

사이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사이트 제목과 부가적인 설명을 추가하는 태그라인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제 사이트는 “워드프레스 노하우” 전달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이트 제목 title)
워드프레스 노하우 전달을 위해 “이지워프” 가 운영하는 사이트 라는 것을 추가합니다. (태그라인 tagline)

워드프레스 주소는 워드프레스가 실제 설치된 주소를 의미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시 웹루트가 아닌 서브디렉토리에 설치하는 경우 디렉토리 경로가 워드프레스 주소에 추가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시 로컬 PC의 wordpress 폴더채로 웹루트(/html)에 업로드 했다면,
워드프레스 주소 URL이 http://userid.dothome.co.kr/wordpress 와 같이 서브디렉토리명을 포함하여 표시됩니다.

사이트 주소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주소표시줄에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는 주소 URL 입니다.
워드프레스 주소와 마찬가지로 설시시 웹루트가 아닌 서브디렉토리에 설치된 경우 디렉토리 경로가 사이트 주소에 추가됩니다.
즉, 사이트 주소 URL이 http://userid.dothome.co.kr/wordpress 와 같이 서브디렉토리명을 포함하여 표시됩니다.

이메일 주소는 사이트 관리에 필요한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 메일로 알림을 받을 관리자의 이메일 주소를 설정하면 됩니다.

멤버쉽은 사이트 운영시 일반 사용자의 자발적인 회원가입을 허용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부분 입니다.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에 체크하는 경우, 워드프레스 회원가입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회원가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일반사용자의 자발적인 가입이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새 사용자를 위한 기본 규칙은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기본적으로 부여할 권한을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독자 권한을 주는 것이 적당합니다. 필요에 따라 권한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사이트 언어는 사용자가 접속시 보여지는 언어를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은 레이아웃에 대한 설정이며, 컨텐츠가 자동 번역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간대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지역 또는 주 사용자의 지역을 설정하면 됩니다.
미국인을 주 타겟으로 하는 사이트라면 미국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는 말 입니다.

날짜 표시 형식, 시간 표시 형식, 시작 요일 등은 시간대와 문화권에 맞추어 이해하기 쉬운 형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쓰기 설정

 

워드프레스 쓰기 설정
워드프레스 쓰기 설정

 

워드프레스에서 컨텐츠를 작성할 때 적용되는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기본 글 카테고리는 새 글 작성시 기본적으로 적용할 카테고리를 정하는 기능 입니다.
기본은 미분류로 설정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적당한 카테고리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기본 글 형식은 새 글 작성시 기본적으로 적용할 글 형식을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기본은 표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 역시 사이트 주 컨텐츠 운영방식에 맞는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메일을 이용한 글 작성은 잘 사용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말 그대로 이메일로 특정 주소에 메일을 보내면 자동으로 글로 등록해주는 기능 입니다.
외부 필자에게 원고를 이메일로 송고받아 바로 글을 등록하는 경우 등 특별한 경우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업데이트 서비스는 사이트에 새로운 컨텐츠가 등록되는 경우 구독자가 알림을 받아 바로 구독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워드프레스 읽기 설정

 

워드프레스 읽기 설정
워드프레스 읽기 설정

 

읽기 설정은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컨텐츠를 외부에 어떤 형태로 접근 가능하게 할지를 결정하는 곳 입니다.

홈페이지 표시는 사용자가 사이트 주소로 접속시 처음 보여줄 화면을 결정하는 기능 입니다.
일반적은 웹페이지로 보면 index.html 파일에 어떤 내용이 보여지도록 할 것인가? 하는 것 입니다.
최근 글을 선택하면 최근에 작성된 글부터 순서대로 글들이 나열되어 보여집니다.
정적인 페이지를 선택하면 특정 페이지를 홈페이지와 글 페이지로 지정하여 보여지도록 합니다.

페이지 당 보여줄 글의 개수는 한 페이지에 보여줄 글의 개수를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보여줄 가장 최근의 신디케이션 피드수는 RSS 구독자에게 한 번에 보여줄 글의 개수를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피드 글의 보기 옵션은 글을 보여줄 때 전체 텍스트를 모두 보여줄지 요약 텍스트만 보여줄지를 선택하는 기능 입니다.

검색 엔진 접근 여부는 검색엔진의 로봇에게 사이트에 있는 컨텐츠에 대한 수집을 허용할지를 결정하는 기능 입니다.

 

워드프레스 토론 설정

 

워드프레스 토론 설정
워드프레스 토론 설정

 

워드프레스 토론 기능과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기본 글 설정은 기본적으로 글에 적용할 댓글 정책을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개별 글에서 개별적으로 지정도 가능하지만, 아무런 지정을 하지 않을 때 적용되는 기본 설정입니다.

다른 댓글 설정은 댓글을 쓸 때, 쓰여진 댓글이 보여지는 방식 등을 적용할 때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항상 나에게 이메일 보내기는 댓글이 등록될 때 특정 상황에서 관리자 이메일로 이메일을 보낼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댓글이 보이기 전에는 사용자가 댓글을 남겼을 때 바로 등록되도록 할 것인지? 관리자 승인이 필요한지를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스팸댓글의 공격을 받을 수도 있으니, 잘 판단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댓글 검토는 댓글 내용 중 검토가 필요한 내용이 있는 경우 댓글 검토 목록에 넣도록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워드프레스 토론 설정
워드프레스 토론 설정

 

댓글 블랙리스트는 이름, URL, 이메일, IP 주소에 특정 단어가 들어간 경우 블랙리스트로 관리하여 댓글을 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 입니다.

아바타는 댓글을 단 사용자의 아바타를 표시하는 기능 입니다.

 

워드프레스 미디어 설정

 

워드프레스 미디어 설정
워드프레스 미디어 설정

 

미디어 설정은 사이트 관리, 컨텐츠 등록시 사용된 미디어를 관리하는 설정을 하기 위한 기능 입니다.

이미지 크기는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미리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기본 설정으로 두고 사용하면 됩니다.

파일 업로드는 업로드된 파일을 서버에서 어떤 형식으로 관리할지 설정하는 기능 입니다.
업로드한 파일을 년/월별로 분류하는 것이 기본적인 설정 입니다.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

 

고유주소 설정은 설정 메뉴 중 가장 중요한 기능 입니다.

일반 설정은 글 작성시 기본적으로 적용할 고유주소를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사이트의 성격, 선호하는 고유주소 형태에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고유주소는 한 번 설정하면 가급적 바꾸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엔진 로봇이 컨텐츠를 수집해 갈 때 고유주소를 기준으로 작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사이트 운영중 고유주소를 변경하면,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기존에 로봇이 수집한 주소로 접속하는 경우 컨텐츠를 찾지 못하는 404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접근할 수 없게 되고, 검색엔진에서 측정하는 사이트 품질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처음 결정할 때 부터 신중하게 결정하시고, 사이트 운영중에는 가급적 바꾸지 말아야 하며, 만약 바꾸게 된다면 기존 주소들에 대한 리다이렉션 처리를 확실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

 

옵션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기능인 듯 합니다.
기존의 고유주소 일반 설정에 더해 추가적으로 카테고리와 태그 기반의 경로를 추가하는 기능으로 보입니다.

 

워드프레스 개인정보 설정

 

워드프레스 개인정보 설정
워드프레스 개인정보 설정

 

개인정보 설정은 최근에 추가된 기능으로 보입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식이 강화되면서 하나의 설정 메뉴로 자리잡은 듯 합니다.
사이트 운영자가 사용자에게 사이트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사이트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기준에 맞추어 명확하게 페이지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시기 바랍니다.

 

다음글에서는 워드프레스 글 작성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설치파일 업로드 DB 정보 입력 따라하기

This entry is part 4 of 4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워드프레스 설치

 

이전글 에서 설치형 워드프레스 파일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료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을 업로드 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은 기존에 대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파일을 업로드 할 때는 FTP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무료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FTP 프로그램이 있으니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은 후 사용하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무료 FTP 프로그램 중 FileZilla 를 사용해서 진행하겠습니다.
FileZilla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에 접속한 후 자신의 환경에 맞는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FTP 접속 정보는 마이닷홈 > 호스팅관리 > 웹/이미지 호스팅 목록 화면에서 사용중인 무료웹호스팅의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접속을 위한 상세 정보
서버 접속을 위한 상세 정보

 

위의 사진에서 실제 웹호스팅 서버에 접속했을 때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 가능합니다.
서버 IP, 홈 디렉토리, FTP 정보, DB 정보 등 입니다.
위의 정보를 참고해서 FTP 접속을 한 후 설치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고, DB 정보를 입력하여 워드프레스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 압축 해제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 압축 해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은 워드프레스 한글 설치파일의 압축을 해제한 모습 입니다.
wordpress 폴더 안에 설치에 필요한 모든 파일이 담겨 있습니다.

 

웹호스팅 서버 FTP 접속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파일질라(FileZilla) FTP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닷홈 무료 웹호스팅에 접속합니다.
위에서 확인한 FTP 접속 정보를 입력하여 빠른 연결을 시도했습니다.
접속이 잘 되셨나요? 접속이 잘 되셨다면 아래의 단계는 건너띄고 진행하셔도 됩니다.
접속이 잘 안되셨다면 아래 단계를 한 번 더 거치셔야 합니다.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닷홈 무료 웹호스팅 서버에 파일질라(FileZilla) FTP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접속을 시도했는데 잘 안되셨다면, 위의 그림처럼 접속 사이트를 설정하고 다시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빠른 연결이 아닌 정식으로 연결 사이트 추가를 하셔야 합니다.

주의할 부분은 암호화 부분을 평문 FTP만 사용(보안 취약) 으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사용자 아이디 등 개인정보 부분은 강좌의 전 부분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스킹 처리 된 상태이니 본인의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파일 업로드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완료
닷홈 웹호스팅 서버 접속 완료

 

무사히 닷홈 웹호스팅 서버에 접속이 되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왼쪽 창에는 사용자의 로컬 환경이 보여지고 오른쪽 창에는 닷홈 웹호스팅 서버의 리모트 환경이 보여집니다.
이제 사용자의 로컬에 있는 wordpress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것들을 오른쪽 리모트 서버에 html 디렉토리 내부로 드래그하여 업로드 하면 됩니다.
왼쪽 창에서 Ctrl+A(전체선택) 키를 누른 후 색상이 반전되면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상태로 오른쪽 창으로 드래그한 후 마우스 왼쪽 버튼을 떼면 됩니다.

 

FileZilla FTP 프로그램을 통한 설치파일 업로드
FileZilla FTP 프로그램을 통한 설치파일 업로드

 

사용자의 로컬 PC에 있는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이 닷홈 웹호스팅 서버의 리모트 환경의 html(웹루트) 디렉토리로 업로드 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업로드가 끝날 때 까지 잠시 기다리시기 바랍니다.

 

본격적인 워드프레스 설치 시작

 

워드프레스 설치페이지 접속
워드프레스 설치페이지 접속

 

웹브라우저를 통해 닷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웹페이지 접속주소에 접속합니다.
http://userid(사용자ID).dothome.co.kr 형태가 됩니다.

그러면 설치를 위한 첫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내용을 읽어보신 후 Let’s go!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하세요.

설치페이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로컬 경로의 wordpress 디렉토리 안의 내용을 리모트 경로의 html 디렉토리에 정확히 업로드 했는지 확인하세요!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 정보 입력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 정보 입력

 

다음 화면에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닷홈 웹호스팅 정보 상세보기 페이지에 있는 정보를 참고하여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명, 암호 정보를 입력하세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데이터베이스 호스트 값은 loclahost 그대로 두면 됩니다.
테이블 접두어도 wp_ 그대로 두면 됩니다. 보안을 위해서 다른 값으로 변경하기도 하고,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해서 다르게 사용하기도 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실행하기
워드프레스 설치 실행하기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한 정보를 모두 입력했습니다.
이제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실행하기
워드프레스 설치 실행하기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사용할 사이트의 제목, 사용자 아이디, 암호, 관리자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검색 엔진 접근 여부 항목은 사이트가 개발중인 상태에서 검색엔진에 노출되지 않기를 원할 때 체크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

 

워드프레스 첫 로그인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

 

드디어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전 화면에서 설정한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값을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하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세요.

 

워드프레스 사용자 로그인 화면
워드프레스 사용자 로그인 화면

 

설치 과정에서 입력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워드프레스에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 로그인 하면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정, 글 관리, 페이지 관리, 사용자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대시보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대시보드 화면으로 이동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화면
워드프레스 대시보드 화면

 

드디어 워드프레스의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 화면에 진입했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뜻합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기 위한 두 번째 단계를 완료했습니다.
다음글에서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각종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도메인 구입, 내 서비스 URL 등록해서 연결하는 방법

This entry is part 3 of 4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도메인 구입

 

이전글 에서 워드프레스 무료 호스팅 신청 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 에서는 내 서비스에 연결할 도메인(URL)을 구입, 등록 하는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닷홈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브도메인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생략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검색창에 도메인 구입 또는 도메인 등록 이라고 입력하면 여러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등록 대행해주는 사이트는 정말 많습니다. 국내 업체, 해외 업체 유명한 곳들이 많습니다.
관리하는 도메인이 많다면 안정적인 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방법이지만, 제 경우는 주로 가장 저렴한 곳을 선택합니다.
knowhowho.com 도메인은 고대디에서 등록하여 노하우 Who? 시리즈 사이트에 연결한 상태 입니다.

여기서는 그 중 국내 업체인 닷홈(DOTHOME)의 도메인 신청해 보겠습니다.
무료호스팅 신청시 사용했던 업체라 도메인과 웹호스팅을 연결하는게 조금 더 수월하고, 도메인 신청시 무제한 웹호스팅 무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메인을 등록 하여 진행하시는 분들은 무료호스팅 보다는 무제한 웹호스팅 무료 서비스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구입 닷홈
도메인 구입 닷홈

 

도메인 검색

 

구글에서 닷홈을 검색하거나 사진 위의 닷홈 링크를 클릭하여 닷홈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닷홈에서 서비스 중인 여러가지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도메인 > 도메인 신청 을 선택하면 도메인 신청의 첫 단계가 시작됩니다.

서비스 신청은 로그인 한 상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먼저 진행해주세요.

 

도메인 검색
도메인 검색

 

도메인 구입을 하려면 우선 구입하려는 도메인이 구입 가능한 상태인지 검색을 해봐야 합니다.
구입하고자 하는 도메인과 .com, .net 등 원하는 도메인 유형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마침 닷홈에서는 도에인 45% 할인쿠폰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도메인 신규 신청 또는 기관이전 신청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 1년 만 할인이 적용되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구입을 위한 등록신청

 

도메인 검색 결과
도메인 검색 결과

 

knowhowho 도메인 검색을 한 결과 입니다.
knowhowho.com 은 등록이 불가능 합니다. (제가 이미 등록했기 때문입니다.)
knowhowho.net 등록 신청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1년 등록시 19,800원 이고, 45% 할인쿠폰 적용시 10,780원 에 1년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2년 이상을 선택하면 최초 1년에 대해서는 45% 할인 가격이 적용되지만, 2년 이상에 대해서는 장기할인률이 적용됩니다.
총 등록비용을 확인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세요.

 

도메인 소유자 정보 입력
도메인 소유자 정보 입력

도메인 등록시 소유자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꽤나 자세한 정보를 입력 받습니다.
공인된 기관에 도메인을 등록하는 절차에 필요한 정보 입니다.

다른 사람이 이미 등록한 도메인을 검색하는 경우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들은 일단 소유자 정보를 공개 상태로 설정해두고, 비공개로 전환시에 추가적인 비용을 청구하고 있습니다.
소유자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싶은 경우 추가비용을 지불해야만 합니다.

 

도메인 구입 결제정보 입력
도메인 구입 결제정보 입력

 

소유자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는 결제정보를 입력합니다.
45% 할인 쿠폰은 이 단계에서 쿠폰코드를 입력하고 적용하기를 눌러 적용 가능합니다.
할인쿠폰이 적용된 총 결제금액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요금납부방법을 선택한 후 도메인 등록 신청을 마무리 하면 됩니다.

 

도메인 관리

 

도메인 사용 현황
도메인 사용 현황

 

닷홈에서 구입한 도메인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실제로 도메인을 구입하고 결제까지 완료하면, 이 메뉴에서 해당 도메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등록된 도메인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화면 입니다.

 

DNS 관리
DNS 관리

 

주로 닷홈에서 도메인을 신청했는데 웹호스팅은 다른 업체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메뉴 입니다.
자신 소유의 도메인이 사용할 DNS(Domain Name Server)를 지정하는 기능 입니다.
닷홈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닷홈에서 웹호스팅을 사용한다면 그대로 두면 됩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기 위한 두 번째 단계를 완료했습니다.
이제 실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 호스팅 신청하기

This entry is part 2 of 4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이전글 에서 설치형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 에서는 다운로드 받은 설치형 워드프레스 파일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구글 검색창에 워드프레스 무료 호스팅 이라고 입력하면 여러 호스팅 업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중 국내 업체인 닷홈(DOTHOME)의 무료 호스팅 을 신청해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 호스팅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 호스팅

 

구글에서 닷홈을 검색하거나 사진 위의 닷홈 링크를 클릭하여 닷홈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닷홈에서 서비스 중인 여러가지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웹호스팅 > 무료 호스팅 을 선택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한 무료 웹호스팅 신청의 첫 단계가 시작됩니다.

서비스 신청은 로그인 한 상태로 진행해야 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먼저 진행해주세요.

 

무료호스팅 Like+ 선택
무료호스팅 Like+ 선택

 

무료호스팅 신청 / 무료호스팅 Like+ 신청 두 가지 선택 옵션이 제시됩니다.
무료호스팅의 경우 디스크 100MB와 일 트래픽이 100MB 에 불과합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기에 매우 부족한 HDD 공간과 일 트래픽 입니다.
조금이나마 여유를 갖기 위해 무료호스팅 Like+ 로 신청하겠습니다.
Like+ 신청시 닷홈 Facebook 계젱에 좋아요를 클릭해야 합니다.

무료호스팅 신청시 공간만설치 를 선택하겠습니다.
이는 다운로드 받은 워드프레스 파일로 직접 설치를 해보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이 과정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시면 WordPress UTF-8(한글) 옵션을 선택하시면 무난합니다.

무료호시팅의 PHP 버전은 5.6 입니다.
최신 버전이 7.x 임을 감안하면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서비스 특징

 

닷홈 무료 웹호스팅 서비스 특징
닷홈 무료 웹호스팅 서비스 특징

 

닷홈은 국내 웹호스팅 업체 중 가장 간단한 절차로 무료호스팅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그 만큼 인기가 높은가 봅니다. 2017년 6월 기준으로 60만명 이상이 무료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하네요.
1인 최대 3계정 무료호스팅을 제공하고 1년 단위로 연장하면 평생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닷홈 무료 웹호스팅 서비스 특징
닷홈 무료 웹호스팅 서비스 특징

 

일반적으로 웹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무료호스팅은 도메인 연결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브도메인 사용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웹호스팅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입할 경우 무료호스팅의 경우도 도메인 연결을 지원하는 곳이 많아졌습니다.
게시판, 블로그 자동 설치도 대부분의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무료로 사용중 1년이 지나도록 연장신청을 하지 않으면 계정이 삭제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만료정책 안내를 자세히 읽어보시고, 그런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주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사양

 

무료호스팅 사양
무료호스팅 사양

 

기본적으로 디스크 100MB, DB 200MB, 일 트래픽 100M 입니다.
하지만 신청시 Like+ 옵션을 선택하면 디스크 300MB, 일 트래픽 300MB 로 업그레이드 됩니다.
닷홈에서 제공하는 서브도메인(계정ID.dothome.co.kr)으로 연결되며, 닷홈에서 도메인 구입시 해당 도메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서버 환경은 PHP 5.6, MySQL 5.5, EUC-kr 인코딩으로 셋팅됩니다.
잘 알려진 게시판, 블로그, 워드프레스 등의 자동설치가 지원됩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백업

 

백업 정책
백업 정책

 

무료호스팅 임에도 3단계 백업 정책을 적용한다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유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임이 확이되었습니다.
무료 서비스에서 백업을 무료로 제공할리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였습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신청시 주의사항

 

무료호스팅 신청시 주의사항
무료호스팅 신청시 주의사항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 흔히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료라는 이유로 우선 만들어 두고 보자~ 입니다.
무료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실제 사용되지 않는 웹호스팅 계정은 의미가 없는 자원의 낭비가 되는 셈 입니다.
1년 마다 연장을 해야만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가 바로 비용의 문제 때문입니다.
고객지원 전화상담과 1:1 문의의 운영 시간도 무료호스팅과 유료호스팅에 제공하는 범위가 다릅니다.
무료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충분히 감수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비스 제한 안내
서비스 제한 안내

 

닷홈 무료호스팅을 사용해서 운영할 수 없는 사이트에 대한 안내가 제공됩니다.
불법, 음란 사이트. 파일 공유 목적의 사이트,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이트, 상업적인 이용, 리다이렉트 용도로 사용시 서비스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위의 사항을 잘 읽어보시고 무료호스팅 신청하기를 하시면 됩니다.

Like+ 옵션을 선택하셨다면 닷홈 페이스북 계정 좋아요를 클릭하시어 추가 용량을 제공받으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신청내역 확인

 

서비스 신청내역 확인
서비스 신청내역 확인

 

무료호스팅 Like+ 공간만 설치 옵션으로 서비스 신청이 잘 되었음을 확인합니다.
공간만 설치 옵션을 선택했기 때문에 아무런 서비스가 설치되지 않은 초기 상태로 설정됩니다.

 

무료호스팅 메일 인증
무료호스팅 메일 인증

 

무분별한 서비스 가입을 막고, 운영시 필요한 각종 기능을 위해 이메일 인증을 해야만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인증메일 받기를 눌러 인증메일을 받으신 후, 메일로 전송받은 메일인증코드를 복사하여 “인증하기” 를 하시면 정상적으로 서비스 신청이 완료됩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신청 완료

 

무료호스팅 신청 완료
무료호스팅 신청 완료

 

닷홈 무료호스팅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결제방법 무료 결제금액 0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호스팅 신청자를 대상으로 신청 후 7일 이내에 유료 옵션을 선택할 경우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료호스팅 제공 만으로는 수익을 낼 수 없는 것이 당연지사 입니다.
업체 입장에서는 무료호스팅을 미끼로 해서 점진적으로 유료사용자로 전환을 시키기 위해 무료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입니다.

 

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호스팅 관리

 

마이닷홈 호스팅 관리 화면
마이닷홈 호스팅 관리 화면

 

마이닷홈 호스팅 관리 메뉴에서 신청한 무료호스팅 서비스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목록 가장 우측의 기타 항목 중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서비스 제공 내역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호스팅 관리 상세내역
호스팅 관리 상세내역

사용중인 서비스, 서비스 만료일, HDD 용량, 트래픽 용량을 확인 가능합니다.
하루 제공되는 트래픽 용량을 초과하여 사이트 접속이 되지 않을 때는 트래픽 수동리셋 버튼을 클릭하여 리셋할 수 있습니다.
무료호스팅을 사용중이고 제공되는 트래픽 용량이 작은 것에서 유추해볼 수 있겠지만, 이 서비스는 유료서비스 입니다.
아마도 왠만한 경우에는 트래픽 수동리셋을 할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서버 접속을 위한 상세 정보
서버 접속을 위한 상세 정보

 

위의 사진에서 실제 웹호스팅 서버에 접속했을 때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 가능합니다.
서버 IP, 홈 디렉토리, FTP 정보, DB 정보 등 입니다.
위의 정보를 참고해서 FTP 접속을 한 후 설치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고, DB 정보를 입력하여 워드프레스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이며 변경이 필요할 경우 이 화면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URL 정보
서비스 URL 정보

 

사용자들이 실제 웹서비스에 접속할 때 필요한 각종 URL 정보를 제공합니다.
DB를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 웹어드민(phpMyAdmin)을 제공합니다.
웹로그 보기는 유료회원 전용 입니다.

 

닷홈 무료호스팅 세팅 완료
닷홈 무료호스팅 세팅 완료

 

닷홈에서 제공하는 기본주소 URL 로 접속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전이라, 닷홈에서 제공하는 기본 index.html 파일의 내용이 보여집니다.

다음 과정에서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업로드 한 수 설치를 완료한 뒤에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index.html 파일을 삭제해야 합니다.
그러면 위의 화면이 아닌 워드프레스의 메인페이지가 나타날 것 입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를 완료했습니다.
다음글에서는 도메인 등록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방법

This entry is part 1 of 4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WordPres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입니다.
각종 CMS 중에서도 점유율 60%에 육박하는 가장 잘 나가는 프레임워크 입니다. 이런 멋진 프레임워크를 공짜(Free)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멋진 일 입니다.

 

CMS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기 이전의 홈페이지 개발을 생각하면, 정말 혁신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일반인이 직접 홈페이지를 그럴듯하게 만들수 있게 된 것은 CMS 프레임워크의 발전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아닌 일반인이 직접 HTML, CSS 를 다루는 것은 고사하고 PHP 라도 다뤄야 하게 되면 정말 절망적인 기분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런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해준 것이 바로 CMS 프레임워크, 그 중에서도 워드프레스(WordPress) 라고 생각합니다.
워드프레스에 대한 이야기 들은 다음에 다른 글을 통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가입형? 설치형?

 

워드프레스는 가입형 서비스와 설치형 서비스로 나뉩니다.
가입형 서비스는 https://wordpress.com 에 접속하여 계정을 생성하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 티스토리 등의 서비스와 유사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 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국내 블로그 서비스와 다른 점은 유료 옵션을 구입할 경우 확장성이 꽤 높아진다는 점 입니다.
그리고, 작성한 컨텐츠를 내보내기 하여 다른 계정이나 설치형 워드프레스로 옮길 수 있다는 것 입니다.

가입형 서비스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개인 블로그 형태의 사이트 운영으로 목적이 한정됩니다.
기업 홈페이지 형태로 운영하려면 각종 유료 옵션을 구입하지 않고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유료 옵션의 가격이 저렴하긴 하지만,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하다 보면 무시하지 못할 비용이 발생됩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적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요금제를 사용해야만 가능합니다.
매월 $25 의 비용이 발생되는데, 1년이면 $300 의 비용입니다. 이정도 비용이면 도메인 구입비용, 웹호스팅 사용요금 등을 지불하고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별도의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사용자의 경우,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비즈니스 서비스를 사용해보는 것을 검토해봐도 좋을 것 입니다.

 

운영할 홈페이지의 성격과 운영 방법에 대한 결정을 내리셨나요?

 

비용은 부담이 되지만, 설치형 워드프레스 설치가 어려울 것 같아서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유료서비스를 사용시려는 분은 조금 더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를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내의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웹호스팅 서비스 신청시 워드프레스를 기본적으로 설치해주는 옵션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조금만 해도 친절한 설치방법 안내가 나옵니다.
물론 워드프레스 노하우 Who? 에서도 다룰 예정입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설치형 워드프레스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wordpress.org 입니다.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

 

링크를 클릭하여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기본적으로 영문 사이트로 접속이 됩니다.
메인 페이지의 우측 상단 검색창 아래에 [dt_default_button link=”https://wordpress.org/download/” button_alignment=”default” animation=”fadeIn” size=”big” default_btn_bg_color=”” bg_hover_color=”” text_color=”” text_hover_color=”” icon=”fa fa-chevron-circle-right” icon_align=”left”]Get WordPress[/dt_default_button]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사용자가 접속한 시점에 가장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zip 으로 압축된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되기 시작합니다.
버튼 아래의 텍스트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유닉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tar 로 압축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CMS 프레임워크 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언어는 영어 입니다.
한국어 버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한국어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좋습니다.
영문 버전을 받아 설치한 후 언어설정을 바꿀 수도 있지만, 설치시에 한국어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워드프레스 공식 사이트 메인화면을 자세히 보면 “WordPress is also available in 한국어.” 링크가 보입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의 한국어 사이트로 접속 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워드프레스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페이지로 연결되었습니다. 영문 홈페이지와 동일한 내용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표시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영어 보다는 한국어로 보는 것이 편한 것은 어쩔 수 없네요.
우측 상단의 워드프레스 얻기 버튼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영문 페이지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접속한 시점에 가장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zip 으로 압축된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되기 시작합니다.
버튼 아래의 텍스트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유닉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tar 로 압축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영문 다운로드 파일로 설치를 해도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단, 설치 과정에서 보여지는 안내 메시지가 영문으로 보입니다.
한글로 설치과정에 대한 안내를 받고 싶은 분은 꼭! 한국어 버전으로 다운로드 하시어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준비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고 해서 바로 설치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워드프레스는 웹서비스 이므로 그에 맞는 운영 환경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설치/사용 하는 것 과는 과정이 조금 다릅니다.
웹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는 가장 쉬운 방법은 웹호스팅 회사의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무료 혹은 유료 서비스를 신청하고 생성된 계정정보와 DB(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운영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웹호스팅 서비스 비교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의 PC에 웹서비스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도 다음에 로컬 웹서버 구축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웹서비스(구글, 네이버 등)에 접속하려면 URL(접속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나만의 워드프레스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URL 이 필요합니다.
웹호스팅 업체에서 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브도메인 형태의 URL을 할당받게 됩니다(예 : http://cafe24.com/knowhowho).
이는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트에 컨텐트를 작성하기 전에 URL을 구입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예 : https://travel.knowhowho.com).

웹서비스를 운영할 웹호스팅 환경과 접속에 필요한 URL(접속주소)를 갖추셨다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는 구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가급적 다양한 경우를 다루겠으나, 일단은 가장 기본적이고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