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다운로드,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방법

This entry is part 1 of 4 in the series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WordPres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입니다.
각종 CMS 중에서도 점유율 60%에 육박하는 가장 잘 나가는 프레임워크 입니다. 이런 멋진 프레임워크를 공짜(Free)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멋진 일 입니다.

 

CMS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기 이전의 홈페이지 개발을 생각하면, 정말 혁신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일반인이 직접 홈페이지를 그럴듯하게 만들수 있게 된 것은 CMS 프레임워크의 발전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아닌 일반인이 직접 HTML, CSS 를 다루는 것은 고사하고 PHP 라도 다뤄야 하게 되면 정말 절망적인 기분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런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해준 것이 바로 CMS 프레임워크, 그 중에서도 워드프레스(WordPress) 라고 생각합니다.
워드프레스에 대한 이야기 들은 다음에 다른 글을 통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가입형? 설치형?

 

워드프레스는 가입형 서비스와 설치형 서비스로 나뉩니다.
가입형 서비스는 https://wordpress.com 에 접속하여 계정을 생성하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 티스토리 등의 서비스와 유사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 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국내 블로그 서비스와 다른 점은 유료 옵션을 구입할 경우 확장성이 꽤 높아진다는 점 입니다.
그리고, 작성한 컨텐츠를 내보내기 하여 다른 계정이나 설치형 워드프레스로 옮길 수 있다는 것 입니다.

가입형 서비스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개인 블로그 형태의 사이트 운영으로 목적이 한정됩니다.
기업 홈페이지 형태로 운영하려면 각종 유료 옵션을 구입하지 않고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유료 옵션의 가격이 저렴하긴 하지만,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하다 보면 무시하지 못할 비용이 발생됩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적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요금제를 사용해야만 가능합니다.
매월 $25 의 비용이 발생되는데, 1년이면 $300 의 비용입니다. 이정도 비용이면 도메인 구입비용, 웹호스팅 사용요금 등을 지불하고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별도의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사용자의 경우,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비즈니스 서비스를 사용해보는 것을 검토해봐도 좋을 것 입니다.

 

운영할 홈페이지의 성격과 운영 방법에 대한 결정을 내리셨나요?

 

비용은 부담이 되지만, 설치형 워드프레스 설치가 어려울 것 같아서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유료서비스를 사용시려는 분은 조금 더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를 자신의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내의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웹호스팅 서비스 신청시 워드프레스를 기본적으로 설치해주는 옵션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조금만 해도 친절한 설치방법 안내가 나옵니다.
물론 워드프레스 노하우 Who? 에서도 다룰 예정입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설치형 워드프레스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wordpress.org 입니다.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

 

링크를 클릭하여 워드프레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기본적으로 영문 사이트로 접속이 됩니다.
메인 페이지의 우측 상단 검색창 아래에 [dt_default_button link=”https://wordpress.org/download/” button_alignment=”default” animation=”fadeIn” size=”big” default_btn_bg_color=”” bg_hover_color=”” text_color=”” text_hover_color=”” icon=”fa fa-chevron-circle-right” icon_align=”left”]Get WordPress[/dt_default_button]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사용자가 접속한 시점에 가장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zip 으로 압축된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되기 시작합니다.
버튼 아래의 텍스트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유닉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tar 로 압축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CMS 프레임워크 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언어는 영어 입니다.
한국어 버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한국어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좋습니다.
영문 버전을 받아 설치한 후 언어설정을 바꿀 수도 있지만, 설치시에 한국어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워드프레스 공식 사이트 메인화면을 자세히 보면 “WordPress is also available in 한국어.” 링크가 보입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의 한국어 사이트로 접속 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워드프레스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페이지로 연결되었습니다. 영문 홈페이지와 동일한 내용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표시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영어 보다는 한국어로 보는 것이 편한 것은 어쩔 수 없네요.
우측 상단의 워드프레스 얻기 버튼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워드프레스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영문 페이지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접속한 시점에 가장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zip 으로 압축된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되기 시작합니다.
버튼 아래의 텍스트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유닉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tar 로 압축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영문 다운로드 파일로 설치를 해도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단, 설치 과정에서 보여지는 안내 메시지가 영문으로 보입니다.
한글로 설치과정에 대한 안내를 받고 싶은 분은 꼭! 한국어 버전으로 다운로드 하시어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준비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고 해서 바로 설치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워드프레스는 웹서비스 이므로 그에 맞는 운영 환경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설치/사용 하는 것 과는 과정이 조금 다릅니다.
웹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는 가장 쉬운 방법은 웹호스팅 회사의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무료 혹은 유료 서비스를 신청하고 생성된 계정정보와 DB(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운영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웹호스팅 서비스 비교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의 PC에 웹서비스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도 다음에 로컬 웹서버 구축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웹서비스(구글, 네이버 등)에 접속하려면 URL(접속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나만의 워드프레스 서비스를 운영하려면 URL 이 필요합니다.
웹호스팅 업체에서 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브도메인 형태의 URL을 할당받게 됩니다(예 : http://cafe24.com/knowhowho).
이는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트에 컨텐트를 작성하기 전에 URL을 구입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예 : https://travel.knowhowho.com).

웹서비스를 운영할 웹호스팅 환경과 접속에 필요한 URL(접속주소)를 갖추셨다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는 구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가급적 다양한 경우를 다루겠으나, 일단은 가장 기본적이고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Series Navigation워드프레스 무료 웹호스팅, 닷홈 무료 호스팅 신청하기 >>